▣ 양산
용굴산<594M>~토곡산<855M>~신선봉<785M>~선암산<704M>(=어곡산,매봉)~작은오봉산<450M>~오봉산<533M>
★ 산행코스 : 수청마을~용굴산~토곡산~신선봉~선암산(매봉)~새미기재~작은오봉산~오봉산~물금파출소~물금역
★ 언 제 : 2016년 1월 16일 (토요일)
★ 누구랑 : 나홀로
★ 이동시간 : 경산역 무궁화(07:16) ~ 원동역(08:07) ~ 도보이동2분~ 원동초등학교건너 137번 버스승차(08:42)
~ 수청(수청마을) 정류장 하차(08:52) ※ 원동초등학교앞 천태산방향 138번 버스 08시45분 지나갔음
※ 경산~원동 4,200원 / 양산시내버스 137번 1,250원
★ 날 씨 : 흐림 / 바람 약간 ★ 기 온 : 3 ~ 6 도
★ 산행조건 : 흐림 / 바람 약간 / 조망 나쁨 / 하루종일 흐리고 정상부에는 눈이 살짝 날림
★ 산행시간 : 8시간 30분 (08:55~17:24)
*. 원동역 광장(08:12) ~ 원동초등학교 건너(08:14) ~ 137번 버스승차(08:42) ~ 수청마을 버스정류장 하차(08:52)
*. 수청 버스정류장건너 들머리 출발(08:55)//토곡산 등산안내도 ~ 철탑(09:06) ~ 낙동강조망점1(09:10) ~
낙동강조망점2(09:18) ~ 낙동강조망점3(09:42) ~ 암릉직전.로프(09:44) ※우회길 있음 ~ 매봉,오봉산조망(09:54)
~ 용굴산 594M(09:58-10:05)///이정표/서룡리1.7k/토곡산2.6k ~ 폐HP~ 암릉부651봉 ~ 석이바위/비석봉(10:55)
~ 삼거리(11:01)///이정표/토곡산정상0.4k/복천장사1.4k/원동초등학교2.9k/서룡리4.0k ~
삼거리.이정표(11:06)/원동역/복천암1.3k/토곡산정상0.2k ~ 토곡산정상 855M(11:09-11:15) ~ BACK ~
삼거리.이정표(11:17)-복천암방향 진행 ~ 복천암갈림길(11:30)///이정표/복천암0.5k/어곡산/토곡산정상1.0k ~
임도 및 철탑(11:44) ※ 임도따라 50여m올라가면 철탑지나 우측으로 시그날 있음.
※ <주의>철탑 직전에 우측 2시방향으로 시그날이 있는곳으로 가면 안됨 ~ 철탑(11:50) ~ 뒤로 토곡산 및 능선조망
~ 695봉.전망대.이정표(12:04)/토곡산정상2.3k/화제2.8k/선암산<매봉>3.1k ~ 신선봉 785M(12:28-12:30)/캐언 ~
664봉(12:47) ~ 구조목.양산시1-5(12:51)/물금가촌-어곡용선11.5Km ~
삼거리(12:54)///이정표/선암산<매바위>0.9k/토곡산4.4k/어곡용선2.7k ~ 점심식사(12:58-13:08) ~
매바위하단(13:13) ~ 철계단 ~ 선암산<매봉=어곡산> 704M/710M(13:29-13:35) ~ 철계단 ~
삼거리.이정표(13:38)/어곡공단2.3k/경남외고4.4k/춘추공원5.6k ※춘추공원방향 진행 ~ 암릉지대 ~
구조목.매봉산1-16(13:51)/새미기고개1.5Km ~
이정표(13:53)/선암산0.5k/작은오봉산5.0k/춘추공원5.2k/어곡공단1.9k ~ 편백숲(14:07) ~
새미기고개(14:12-14:16)///선암산1.8k/작은오봉산3.7k/춘추공원3.9k ~
이정표(14:31)/선암산3.0k/작은오봉산2.5k ~ 철탑(14:55) ~
화제고개.이정표(14:57)/작은오봉산0.6k/선암산3.1k/화제리2.7k ※우측.콘크리트임도 ~
이정표없는.안부삼거리-우측진행<주의> ~ 내리막 ~ 공터.이정표(15:13)/선암산3.4k/작은오봉산0.3k ~ 오르막 ~
작은오봉산 450M(15:21-15:25)//구조목.2봉.팔각정0.9k//산불감시초소 ~
이정표(15:30)/오봉산정상/화제/매바위<교리>/범어대동A///구조목/정상2.2k/2봉0.2k ~ 양산시내조망 ~
Y멋진소나무(15:41) ~ 96계단삼거리(15:53)//이정표/작은오봉산1.3k/오봉산1.1k/96계단입구0.9k ~
암릉지대(16:13-16:20) ~ 좌측-양산시내/우측-낙동강조망 ~
오봉산 533M(16:26-16:31)///이정표/작은오봉산2.4k/원동토교1.3k/오봉산산책로<임경사>1.7k ~
이정표(16:43)/오봉산정상/가촌/정안사 ~ 전망대.너럭바위(16:48) ~ 전망대(16:51) ~
Y갈림길-우측진행<주의.이정표없음> ※좌측으로 진행하면 정안사가는길인데 본인은 우측 진행했음. ~
체육시설(16:58)사거리//구조목/해발250m/오봉산←/→정안사 ※ 좌측이 정안사 하산길인데 본인은 직진했음. ~
ㅓ갈림길(17:04)///이정표/오봉산정상1.4k/용국사0.4k/전망대0.5k ※좌측이 용국사 하산길 ~
전망대방향 직진 --- 직진 알바(5분)후 산불감시원 만나 BACK ~ 용국사쪽 하산(17:09) ~ 용국사(17:17) ~
콘크리트포장도로 ~ 터산장(17:24) ※새터산장 우측 하산길 있음. 정안사 하산길 같음. ///// 산행종료 /////
~~~ 물금파출소 ~ 포장도로따라 ~ 물금역(17:36)
★ 도상거리 : 20.6 Km ※ 선답자 23.2 Km(GPS기준)
*. 수청마을 ~ 용굴산 ...................................... 1.7 KM
*. 용굴산 ~ 토곡산 ......................................... 2.6 KM
*. 토곡산~신선봉~선암산(매봉=어곡산) .............. 5.4 KM
*. 선암산(매봉=어곡산) ~ 새미기고개 ................. 1.8 KM
*. 새미기재 ~ 작은오봉산 ~ 오봉산 .................... 3.7 KM + 2.4 KM
*. 오봉산 ~ 용국사 ~ 물금역 ............................ 1.8 KM + 1.2 KM
★ 귀가시간 : 물금역(18:13) ~ 경산역 도착(19:10) ※ 입석 4,100원
★ 기 타 :
(1) 원동역대합실 나와 첫골목 우회전하면 원동초등학교 임. 초등학교 정문 맞은편에서 137번 버스승차가 천태산을 출발
08시42분경 원동초등학 건너편에 도착 함. 수청마을 버스정류장까지 1분정도 소요.
(2) 산행 들머리는 수청 버스정류장 바로 건너편(등산안내판)이며, 들머리에서 용굴산까지는 계속 고도를 높여야 함.
낙동강조망점을 3군데를 지나면 로프가 있는 암릉이 나옴. 암릉 우측으로 우회길 있음.
용굴산은 별도의 정상석이 없어며 이정표가 정상석을 대신 함.
(3) 용굴산에서 삼거리(토곡산,원동초등) 갈림길까지는 일부 암릉부(651봉)로 되어 있어며 석이바위,비석봉을 지나면
삼거리 이정표가 나옴. 수청마을에서 토곡산 정상까지는 능선길로서 길을 잃어버릴 염려는 없음.
(4) 토곡산정상을 밟고 다시 돌아나와(2분) 삼거리에서 좌측(이정표-복천암)으로 진행해야 하며 함.
(5) 복천암갈림길(복천암0.5k/어곡산/토곡산정상1.0k)에서 직진하여 15분정도 진행하면 임도 와 철탑을 만나는데 이곳
에서 임도따라 50여m올라가면 철탑지나 우측으로 시그날 있음.
※ <주의>철탑 직전에 우측 2시방향으로 시그날이 있는곳으로 가면 안됨.
(6) 이후 다시 철탑1기를 통과하여 능선만 따르면 695봉전망대(이정표)를 거쳐 캐언이 있는 신선봉에 도달 함.
신선봉에서 잠시 고도를 낮춰 진행하면 664봉~구조목.양산시1-5~삼거리를 거쳐 선암산(=매봉) 하단부에 도착함.
(7) 매봉은 철계단을 통해 오를수 있음. 선암산<매봉=어곡산>에서 조망은 탁월하며 하산도 철계단을 따라 내려옴.
매봉에서 내려와 2분후 이정표 삼거리에서 춘추공원방향으로 진행하면 암릉지대가 잠시 나옴.
이후 다소 경사가 있는 내리막을 1.5km 내려가면 새미기고개에 도달함. 새미기고개는 1022번 지방도임.
(8) 새미기고개에서 사면길을 조금 진행하다가 철탑을 지나면 화제고개에 도달 함.
화제고개(이정표/작은오봉산0.6k/선암산3.1k/화제리2.7k) 우측에는 콘크리트임도길이 보임.
화제고개에서 잠시 진행하면 이정표없는 삼거리가 나오는데 양쪽으로 시그날이 있으나 우측(9시)방향이 고 선명함.
<주의구간> 짧은내리막을 내려서면 주차할 정도(옆에 임도)의 공터가 나오고 이정표(선암산/작은오봉산)가 있음.
이곳에서 오르막을 8분여 오르면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작은오봉산에 도착함.
(9) 작은오봉산은 별도의 정상석이 없어며 이정표와 구조목(2봉)에 작은오봉산이라 표시되어 있음.
작은오봉산에서 오봉산을 향해 진행하면 양산시내가 조망되고, Y형 명품소나무도 있음.
이후 96계단 삼거리이정표와 암릉지대를 통과하면 좌측은 양산시내, 우측은 낙동강이 조망되기도 함.
(10) 작은오봉산에서 쉬엄쉬엄가도 1시간이면 오봉산에 도달 함.
오봉산에서 좌측(이정표)으로 방향을 꺽어 내려가면 너럭바위 조망점이 나옴.
조망점지나 3-4분이면 Y갈림길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부터는 좌측으로만 하산하면 양산시내로 연결 됨.
본인은 Y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진행<주의.이정표없음> ※좌측으로 진행하면 정안사 하산길임.
잠시후 체육시설이 있는 사거리(구조목/해발250m/오봉산←/→정안사)를 만나면 좌측으로 하산해도 정안사 나옴.
(11) 본인은 체육시설 사거리에서 직진하였더니 6분후 ㅓ갈림길(이정표/오봉산정상/용국사/전망대)이 나왔음.
이곳(산불감시차량 진입가능)에서 좌측으로 하산하여야 용국사로 하산할수 있으나 직진하였다가 산불감시원을 만나
돌아 내려옴. ※ 주의구간 (5분간 알바) --- 직진해도 물금역이 나오지만 길이 험하다고 함.
(12) 하산길에서 8분이면 용국사에 도달하고, 용국사에서 콘크리트 포장길을 따라 내려오면 새터산장(폐업)에 도착
하고 산행을 마무리 함. ※ 새터산장 우측으로 넓은 등산로 있음. 정안사 하산길 같음.
■용골산(591m)은 원래 토곡산의 줄기에 속한 이름 없는 봉우리에 불과했다.
그러던 것을 국제신문의 근교산행 팀이 수청마을을 출발해서 토곡산으로 올라가는 코스를 개척하고
인근 寺刹에서 부르는 이름을 따서 ‘용골산’이라 명명했는데,
지금은 그 이름이 국토지리원 발행지도나 동아지도에도 등재되어 일반화 된 산이다.
용골산은 용굴산. 함박산. 굴밧산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토곡산(855m)은 기장 달음산(587.5m) 그리고 이웃해 있는 천태산(630.9m)과 더불어
부산 근교의 3대 악산으로 불리는 산의 기세가 첫걸음부터 발목을 붙잡는 산이다.
악산(惡山)이란 '산행이 힘들다'는 뜻이다.
3대 악산 중에서도 원동의 진산인 토곡산이 가장 높다.
산줄기는 여러 갈래로 옹골차게 뻗어 내린다.
산줄기에는 설악산 용아릉 같은 암릉이 길게 걸쳐 있다.
조금 올라가면 걷기가 수월해지겠지 하는 기대는 처음부터 접는 것이 옳다.
용골산이나 토곡산은 웬만큼 이력이 붙었다는 산님들 조차도 익숙하지 않은 산이다.
부산에서 그다지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감안할 때 어쩌면
가지산이나 신불산, 영축산 등 영남알프스의 유명세에 가린 탓이 아닐까 싶다.
용골산(591m)과 토곡산(855m)의 울퉁불퉁한 근육질로 이루어진
산의 기세(氣勢)는 전국에서 내로라하는 유명 산들에 비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 오봉산 -다섯 개의 봉우리가 만드는 절경
경남 양산시 물금읍과 원동면 경계를 이루는 오봉산(해발 530m)은 이름 그대로 5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진 능선이다.
530m의 제1봉이 낙동강 바로 동쪽에 자리잡았고, 그 반대편 북동쪽 양산읍 부근 화제고개 못 미쳐 제5봉(449m)이 있어
산줄기의 흐름과는 반대로 낮은 봉우리에서 마지막에 높은 봉우리를 이룬 셈이다.
오봉의 맞은편 북쪽에는 토곡산이 자리잡아 가지산 - 간월산 - 신불산 - 취서산으로 이어오던
영남알프스가 낙동강에 이르러 마지막 끝맺음을 한 것이 이 오봉산이다.
오봉산의 남쪽은 양산천을 낀 물금들이고 그 건너편 동쪽에는 금정산이 높이 솟아 있다.
오봉산의 서쪽은 낙동강과 접하고 있으며, 남동쪽은 현재 조성 중인 물금 신도시와 접해 있다.
북서쪽으로는 화제평야와 접해 있고, 오봉산~작은오봉산 ~화제고개로 이어지는 능선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등산로이다.
오봉산은 산이 얕아 인근주민들도 신불산이나 토곡산만 찾는다.
하지만 제1봉 7푼 능선에 있는 암봉인 임경대는 신라 시대 고운 최치원이 이 일대의 수려한 경관에 반해 시를 남긴 유서 깊은 곳이다.
그 경관이 좋아 영화 [엽기적인 그녀]의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또한 낙동강과 인접한 오봉산은 등산코스 및 패러글라이더 활공장이 있어
최근 들어 산악인들과 패러글라이더 동호인들의 발길이 증가하고 있다.